여권을 새로 발급하거나 재발급할 때 “26면 여권이 나을까, 58면 여권이 나을까?” 고민하셨죠?
이 글에서는 2025년 기준 26면과 58면 여권의 차이점, 비용·유효기간, 선택 기준까지 모두 정리해 드립니다.
이제 어떤 면수를 신청할지 헷갈리지 않도록, 핵심 정보를 한눈에 파악해 보세요.
여권 면수란 무엇인가요?
- 여권의 사증란(비자 찍는 빈 공간) 이 채워질 수 있는 면(페이지) 수를 말합니다.
- 우리나라는 복수여권(일반 여권) 기준으로 26면 또는 58면 두 가지 옵션이 존재합니다.
- 단수여권(1년 유효)이나 특수 여권은 별도의 면수 기준이 적용됩니다.
여권 면수가 왜 다르며, 선택 시 고려해야 할 부분은?
면수가 중요한 이유 & 선택 시 고려 요소
- 비자 또는 사증 필요 국가 방문 여부
→ 비자 도장이 많거나 입·출국 도장을 자주 받아야 하는 여행자가 많다면 58면이 여유가 있습니다. - 사용 빈도 및 여행 횟수
→ 해외여행 빈도가 낮다면 26면도 충분할 수 있습니다. - 휴대성 / 무게 / 비용 고려
→ 면수가 많아지면 책자 두께가 늘어나고 약간 무거워지는 단점이 있습니다. - 수수료 차이
→ 26면과 58면은 수수료에 약간의 차이가 있습니다.
여권면수 26면 58면 차이
항목 | 26면 | 58면 |
---|---|---|
유효기간 (18세 이상 복수여권) | 10년 | 10년 |
수수료 (국내 발급 기준) | 35,000원 + 국제교류기여금 12,000원 = 47,000원 | 38,000원 + 국제교류기여금 12,000원 = 50,000원 |
면수 차이 | - | +32면 (58면이 더 많음) |
장단점 요약 | 얇고 가벼움, 충분한 경우 많음 | 여유 있음, 잦은 여행자에게 유리 |
추천 대상 | 연 1~2회 이하 해외여행자 | 해외출장이 잦거나 장기간 여행자 |
- 국내 외교부 여권 안내에 따르면, 복수여권(18세 이상)의 경우 26면은 35,000원 + 국제교류기여금 12,000원을 합쳐 47,000원, 58면은 38,000원 + 12,000원을 합쳐 50,000원입니다.
- 또한, 잔여 유효기간이 있는 여권을 재발급할 때는 여권면수 선택이 가능하며, 국내 기준 잔여 유효기간 부여 시 58면/26면 둘 중 선택 가능합니다.
여권 신청 및 발급 절차 요약
여권 발급 절차 및 유의사항을 확인해보세요
- 신청 장소
국내: 여권 사무대행기관, 정부24
해외: 재외공관
온라인 신청 가능 (재발급 시, 1~2회 발급 이력 등 조건 있음) - 구비서류
- 여권발급신청서
- 사진 1장 (최근 6개월 이내)
- 신분증 (주민등록증 또는 운전면허증)
- 기존 여권 (유효기간 남았으면 반납) - 수수료 납부 및 면수 선택
- 26면 또는 58면 선택
- 잔여 유효기간 부여 시에도 면수 선택 가능 - 발급 기간 / 수령 방식
- 국내 : 통상 며칠 소요
- 해외 : 재외공관 기준으로 몇 주 걸릴 수 있음. 급행이나 특송 신청 가능
자주 묻는 질문
Q1. 26면과 58면, 동시에 신청 가능한가요?
– 네, 복수여권 신청 시 신청자가 26면 또는 58면 중 원하는 쪽으로 선택 가능합니다.
Q2. 여권 면수가 모자라면 추가 사증란을 붙이나요?
– 과거엔 사증란이 부족한 경우 추가 책자를 붙이는 방식이 있었지만, 차세대 전자여권 도입 이후 여권 면수를 확장하여 사증란 부족 문제를 완화시켰고, 추가 부착 제도는 폐지되었습니다.
Q3. 여행을 거의 안 가는데 58면이 괜찮을까요?
– 여행이 연 1~2회 이하라면 26면으로도 충분한 경우가 많습니다. 두께와 무게를 고려하면 26면이 더 실용적이라는 의견도 많습니다.
Q4. 면수 차이로 수수료만큼 가치가 있을까요?
– 수수료 차이는 약 3,000원 정도로 크지 않습니다. 하지만 여행 빈도나 사증 수요가 많다면 면수 여유가 더 중요할 수 있습니다.
결론 및 추천 팁
요약하자면, 여권 26면은 얇고 가벼워 휴대성이 좋고, 58면은 사증란 여유가 커 여행 수요가 많은 사람에게 유리합니다.
2025년 기준 수수료 차이는 약 3,000원 정도이며, 신청 시 자유롭게 면수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.
여행 횟수가 많거나 비자 활동이 잦은 분은 58면을, 그렇지 않은 분은 26면을 선택하시면 불필요한 공간 낭비나 비용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.
'잡다한지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예비군 훈련일 조회 방법, 연기 신청 하는 조건 및 절차! (0) | 2025.10.14 |
---|---|
분실 주민등록증 조회 방법 및 재발급 절차 (+비용/기간, 습득 조회 까지) (0) | 2025.10.13 |
복수여권 vs 단수여권 차이 - 발급 절차, 여권 수령 방법, 수수료 (0) | 2025.10.12 |
여권 발급 이력조회 방법 및 절차 총정리 (+ 분실 여권번호, 증명서 발급 여부! ) (0) | 2025.10.12 |
관세청 HS코드 조회, 빠르게 찾는 방법! (+조회 절차, 개정 사항) (0) | 2025.10.12 |
보탬e 지방보조금관리시스템 사용 방법, 비용/기간/조건 총정리 (0) | 2025.10.12 |
육아휴직급여 사후지급금 폐지 및 변경사항, 지급 받는 방법! (0) | 2025.10.11 |
공무원연금 예상 수령액 계산하기, 20년일때 30년일때 금액 비교! (0) | 2025.10.11 |